[Conference] Negotiating the Time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-10-10 10:35 조회77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국제학술회의: Negotiating the Time
ㅡ
주최: 서양사 한일포럼, 국제화사회 민주주의를 위한 민족사와 집단 기억의 작동에 관한 학제간 연구 프로젝트,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
서강대학교 김대건관 K518호
2018.10.26.(금)-27.(토)
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<Negotiating the Time> 국제학술회의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는 시간성의 관점에서 근대의 형성을 탐구하고 전지구화와 탈근대성으로 초래된 시간 경험의 변화를 논하는 국제학술회의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.
일시: 2018년 10월 26일(금)- 27일(토)
장소: 서강대학교 김대건관 518호
주최: 서양사 한일포럼, 국제화사회 민주주의를 위한 민족사와 집단 기억의 작동에 관한 학제간 연구 프로젝트,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
첫째날. 2018년 10월 26일(금)
16:00 개회사: 하시모토 노부야 (간사이가쿠인대, 일본)
16:10 기조강연: 사카이 나오키 (코넬대, 미국)
진보로서의 시간과 히키코모리(은둔형 외톨이) 내셔널리즘: 외향적 사회에서 내향적 사회로
17:00 휴식
17:15 토론
둘째날. 2018년 10월 27일(토)
10:00 패널1. 시간의 역사화?
사회. 코야마 사토시 (교토대, 일본)
발표1. 스테판 다나카 (UC 샌디에고, 미국)
역사적 시간의 무상함
발표2. 나구모 다이슈케 (야마구치대, 일본)
2015년 이후 두 개의 ‘늦은 고대’: 고대부터 중세까지 시대 구분에 대한 재고
토론. 오경환 (성신대, 한국)
12:00 점심식사
13:00 패널2. 시간의 정치화?
사회. 하시모토 노부야 (간사이가쿠인대, 일본)
발표1. 니콜라이 코포소프 (에모리대, 미국/러시아)
포퓰리즘과 기억: 역사의 죽음 이후 과거의 정치학
발표2. 김한상 (아주대, 한국)
얼어붙은 시간 너머: 발굴된 필름 푸티지와 그 활용의 정치학
토론. 류석진 (서강대, 한국)
15:00 휴식
15:15 패널3. 시간의 식민화?
사회. 김주희 (서강대, 한국)
발표1. 이헌미 (서강대, 한국)
변혁의 시기: 1894-1895 중동전기의 국제정치담론
발표2. 이시바시 유토 (츄오대, 일본)
대영제국의 시간 표준: 식민지 천문대와 시보 기술의 변천
토론. 아와야 토시에 (도쿄외대, 일본)
17:15 휴식
17:30 라운드테이블
사회. 임지현 (서강대, 한국)
토론. 스테판 버거 (보훔 루르대, 독일)
*모든 발표와 토론은 영어로 진행됩니다.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는 시간성의 관점에서 근대의 형성을 탐구하고 전지구화와 탈근대성으로 초래된 시간 경험의 변화를 논하는 국제학술회의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.
일시: 2018년 10월 26일(금)- 27일(토)
장소: 서강대학교 김대건관 518호
주최: 서양사 한일포럼, 국제화사회 민주주의를 위한 민족사와 집단 기억의 작동에 관한 학제간 연구 프로젝트,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
첫째날. 2018년 10월 26일(금)
16:00 개회사: 하시모토 노부야 (간사이가쿠인대, 일본)
16:10 기조강연: 사카이 나오키 (코넬대, 미국)
진보로서의 시간과 히키코모리(은둔형 외톨이) 내셔널리즘: 외향적 사회에서 내향적 사회로
17:00 휴식
17:15 토론
둘째날. 2018년 10월 27일(토)
10:00 패널1. 시간의 역사화?
사회. 코야마 사토시 (교토대, 일본)
발표1. 스테판 다나카 (UC 샌디에고, 미국)
역사적 시간의 무상함
발표2. 나구모 다이슈케 (야마구치대, 일본)
2015년 이후 두 개의 ‘늦은 고대’: 고대부터 중세까지 시대 구분에 대한 재고
토론. 오경환 (성신대, 한국)
12:00 점심식사
13:00 패널2. 시간의 정치화?
사회. 하시모토 노부야 (간사이가쿠인대, 일본)
발표1. 니콜라이 코포소프 (에모리대, 미국/러시아)
포퓰리즘과 기억: 역사의 죽음 이후 과거의 정치학
발표2. 김한상 (아주대, 한국)
얼어붙은 시간 너머: 발굴된 필름 푸티지와 그 활용의 정치학
토론. 류석진 (서강대, 한국)
15:00 휴식
15:15 패널3. 시간의 식민화?
사회. 김주희 (서강대, 한국)
발표1. 이헌미 (서강대, 한국)
변혁의 시기: 1894-1895 중동전기의 국제정치담론
발표2. 이시바시 유토 (츄오대, 일본)
대영제국의 시간 표준: 식민지 천문대와 시보 기술의 변천
토론. 아와야 토시에 (도쿄외대, 일본)
17:15 휴식
17:30 라운드테이블
사회. 임지현 (서강대, 한국)
토론. 스테판 버거 (보훔 루르대, 독일)
*모든 발표와 토론은 영어로 진행됩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