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쟁, 여성, 폭력: 일본군 ‘위안부’를 트랜스내셔널하게 기억하기
페이지 정보
Name 최고관리자 Date19-08-01 11:31 Hit1,341 Comment0첨부파일
-
CGSI 02_전쟁여성폭력.pdf (1.1M) 363회 다운로드 DATE : 2019-08-06 09:53:16
관련링크
본문
허윤・무타 가즈에・도미야마 이치로・권김현영
차례
1. 일본군 ‘위안부’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-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(허윤)
2. 「‘위안부’ 문제는 #MeToo다!」 영상에 대한 공격을 통해 본 일본 (무타 가즈에)
3. 증언 ‘이후’ - 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지만, 이미 타인의 일이 아니다 (도미야마 이치로)
4. 침묵은 말이 되었지만 말은 의미가 되었을까? - 듣기의 공동체를 예비하며 (권김현영)
차례
1. 일본군 ‘위안부’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-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(허윤)
2. 「‘위안부’ 문제는 #MeToo다!」 영상에 대한 공격을 통해 본 일본 (무타 가즈에)
3. 증언 ‘이후’ - 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지만, 이미 타인의 일이 아니다 (도미야마 이치로)
4. 침묵은 말이 되었지만 말은 의미가 되었을까? - 듣기의 공동체를 예비하며 (권김현영)